vue를 배우기 시작했을 무렵 watch와 computed의 역할에 대해서 감이 잡히지 않았다. watch.. 단어 그대로 감시하고 있다는 점이 더 직관적이라 computed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걸 watch로만 개발하기도 했다. (졸라 혼남) 아무튼 지금은 어느정도 감이 잡혔지만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지는 않았기에 watch 와 computed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. watch와 computed의 차이점 watch와 computed는 둘 다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옵션이다. 그러나 각각의 목적과 동작 방식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다. watch watch 옵션은 데이터의 변화를 감지하고, 특정 데이터가 변경될 때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..
네비게이션 가드 네비게이션 가드는 주로 탐색을 리디렉션하거나 취소하여 탐색을 막는데 사용된다. 주로 사용자의 권한과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페이지에 접근하지 못하게 할 때 사용한다. 가드 연결 방법은 전역, 경로별, 컴포넌트 내부가 있다. 1. 전역으로 연결하기 비포 가드 beforeEach() : 라우터 인스턴스의 beforeEach() 메서드에 콜백함수를 전달하여, 비포 가드를 전역으로 등록할 수 있다. 탐색이 트리거 될 때마다 등록 순서대로 비포 가드가 호출된다. 가드는 비동기식으로 해결될 수 있고 탐색은 모든 훅이 해결되기 전까지 대기중으로 간주한다. const router = createRouter({ ... }) router.beforeEach((to, from, next) => { // ..
mixin vue 컴포넌트에 비슷한 기능들을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 재사용 로직은 data, methods, created 등과 같은 컴포넌트 옵션 mix 형식 // mixin 정의 var mixins = { // 컴포넌트 옵션 (data, methods, created 등) }; // mixin 주입 new Vue({ mixins: [mixins] }) 만들면서 이해해보자 /mixin1 링크 이동 시 A 페이지, /mixin2 링크 이동 시 B 페이지를 띄우며 각 페이지의 데이터를 mixin 을 통해 불러오자 일단, route 연결 // routes/index.js export const router = new VueRouter({ routes: [ { path: '/mixin1', name: 'mix..
Higher Order Component (HOC) 함수형 기반 재사용 방식이다. 컴포넌트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다. 컴포넌트를 인자로 받고 컴포넌트를 반환하는 컴포넌트이다. 예를 들어 ... /hoc1 링크로 이동하면 A페이지, /hoc2 링크로 이동하면 B페이지가 나오는 구조일 때 A, B페이지가 거의 똑같다면 각각 view를 만들기보단 컴포넌트의 컴포넌트를 만들고 용도에 맞게 컴포넌트를 return 하는 식으로 만들어보자. 즉, 한 컴포넌트 로직을 그대로 재사용하기! 코드를 보면서 이해해보자 // routes/index.js import Vue from 'vue'; import VueRouter from 'vue-router' import createView from '../views/HocView..
| 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|---|---|
| 새 글 쓰기 |
W
W
|
| 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|---|---|
| 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| 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|---|---|
| 맨 위로 이동 |
T
T
|
| 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| 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