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건부 렌더링🎈v-if 와 v-showv-if는 false일때는 렌더링되지않고 true일때만 렌더링된다.v-show는 조건에 관계 없이 항상 렌더링 된다. (false 일 경우 css display:none 속성으로 전환) v-if는 전환 비용이 높다.v-show는 초기 렌더링 비용이 높다. 즉, 무언가를 자주 전환해야한다면 v-show를 사용하고,런타임 조건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v-if가 낫다. 🎈v-if 와 v-forv-if와 v-for은 함께 쓰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.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v-if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.
v-bind와 v-model의 차이점 v-bind는 단방향, v-model은 양방향 바인딩. 양방향이면 그저 좋을 거라 무식한 생각을 했지만, 당연하게도 역할에 맞게 써야 한다.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알아보고 쓰임새에 맞게 쓰도록 하자... v-bind v-bind는 데이터를 DOM 요소의 속성에 동적으로 바인딩하는 데 사용된다. export default { data() { return { myData: 'initial value' }; } }; :value는 v-bind:value의 단축 표현이다. :value는 input 요소의 value 속성을 myData에 동적으로 바인딩한다. 그러나 이것은 양방향 바인딩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력은 myData에 반영되지 않는다. 주로 form 요소에 초기..
| 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|---|---|
| 새 글 쓰기 |
W
W
|
| 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|---|---|
| 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| 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|---|---|
| 맨 위로 이동 |
T
T
|
| 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| 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