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벤트 처리이벤트 처리는 v-on 디렉티브를 사용단축 표현으로 @ 으로 사용메서드의 첫번째 매개변수는 event 객체 🎉 $event 인라인 핸들링에서 event 객체를 접근하려면 $event 키워드 활용한다. 🎉 이벤트 수식어이벤트를 조작할 때 v-on의 이벤트 수식어로 더 효율적으로 이벤트 메서드 호출(1) .stop 는 event.stopPropagation() → 이벤트 전파(캡쳐~버블링) 막기(2) .pervent 는 event.preventDefault() → 기본 기능 막기(3) .capture 는 캡처 모드를 사용할 때 이벤트 리스너를 사용 가능(4) .self 는 오로지 자기 자신만 호출할 수 있음. 즉 타깃 요소가 self일때 발동된다.(5) .once 는 해당 이벤트는 한 번만..
조건부 렌더링🎈v-if 와 v-showv-if는 false일때는 렌더링되지않고 true일때만 렌더링된다.v-show는 조건에 관계 없이 항상 렌더링 된다. (false 일 경우 css display:none 속성으로 전환) v-if는 전환 비용이 높다.v-show는 초기 렌더링 비용이 높다. 즉, 무언가를 자주 전환해야한다면 v-show를 사용하고,런타임 조건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v-if가 낫다. 🎈v-if 와 v-forv-if와 v-for은 함께 쓰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.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v-if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